본문 바로가기

명태랑의 공부하기/부동산 공부하기

'50층 추진' 잠실5단지, 서울시 문턱에 또 걸려…초과이익환수제 못 피할 듯

 

 

 

 

서울시 도계위 재건축 심의 또 연기, 심의위원 정족수 미달 때문에

조합 "피가 마른다" 불만, 96일 재상정할 듯

 

 

  최고 50층 재건축을 추진하는 서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에 대한 정비계획안 심사가 정족수 미달로 다음 달로 또 미뤄졌다. 내년에 부활하는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는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30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날 오전 열린 도시계획위원회 회의에 잠실주공5단지 정비계획안이 상정됐지만, 심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잠실 5단지는 지난 16일 열린 제14차 도계위 심의 때 논의되지 않은 8건 중 6번째 안건으로 상정됐는데, 5건에 대한 논의만 진행됐다"고 말했다. 30일 심의가 무산된 것은 '정족수 미달'이 원인이다서울시 도계위는 시 조례에 따라 25~30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현재 심의위원으로 참여하는 27명 중 과반(14명 이상)이 출석해야 심의를 진행할 수 있다. 서울시 측은 "임시로 도계위 위원을 소집했는데 업무 등 이유로 일부 위원이 자리를 뜨면서 정족수를 채우지 못했다" "다음 달 6일 열릴 도계위 회의에선 첫 번째 안건으로 올려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잠실5단지 재건축 조합 측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조합 관계자는 "도계위에 당일 처리할 수 있는 안건만 올리든가, 상정했으면 심의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애초에는 조합 측이 서울시가 제안한 각종 안을 받아들인 만큼 8월 도계위 통과가 무난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그동안 조합은 '최고 층수 35' 수용 여부 등을 두고 서울시와 갈등을 벌였다시가 도시계획인 '2030 서울플랜'에 근거해 주거지역(3종 일반)에 아파트를 건립할 때 35층 이하로만 짓도록 제한해서다이에 조합은 '광역 중심 기능을 하는 준주거지역의 주상복합은 50층 이상 지을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잠실역 주변 부지를 준주거지역으로 종 상향 하는 방식을 추진 중이다. 김창환 서울시 종합계획팀장은 "도계위 심의에서 용도지역 변경의 타당성이 인정되면 조합 추진안대로 갈 것"이라며 "일단 큰 틀에서 서울시 기준엔 부합한다"고 말했다또 서울시가 공공성 확보를 위해 단지 안에 마이스(MICE, 회의·관광·전시·이벤트) 지원 기능 등을 강화할 것을 요구한 것도 조합은 대부분 수용했다. 그런데도 번번이 서울시 문턱을 넘지 못하자 잠실5단지 조합은 내부적으로 서울시청 주변에서 집회 개최 여부를 검토 중이다. 다음 달 6일 재건축 심의에서 정비계획안이 부당하게 퇴짜를 맞을 경우 집단 항의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재건축 일정도 더 늦춰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내년에 부활하는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는 사실상 피하기 어렵게 됐다. 환수제는 재건축 사업으로 조합이 얻은 이익이 조합원당 평균 3000만원을 넘을 경우 초과이익의 최대 50%를 부담금으로 내야 하는 제도다. 이를 피하려면 조합은 연말까지 재건축 착공 전 마지막 단계인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신청해야 한다. 하지만 잠실5단지는 그 전에 건축심의, 사업시행 인가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 때문에 금일 도계위를 통과하더라도 시간이 촉박해 환수제 적용이 불가피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백준 J&K도시정비 대표는 "4~5개월 안에 건축심의, 사업시행 인가를 받고 관리처분 인가까지 신청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조합 측도 "다음 주 심의를 통과하면 어떻게든 환수제를 피하기 위해 사업 속도를 최대한 내보겠지만, 만만치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는 예상 집값, 집값 상승률, 사업비 등을 고려할 때 잠실주공5단지의 초과이익 부담금이 가구당 1~2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 집값이 해당 지역 평균보다 훨씬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지난달 말 기준 최근 5년 간 송파구 아파트값이 11% 오르는 동안 잠실5단지는 50%가량 상승했다. 잠실주공5단지 시세는 8·2 대책 이후 약세를 보이다가 최근 도계위 통과 기대감에 회복 조짐을 보였다. 이 단지 전용면적 76의 경우 대책 이후 고점(157000만원) 대비 16000만원 낮은 141000만원에 거래된 뒤 최근 호가(부르는 값)15억원으로 올랐다.(2017831일 중앙일보 기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