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태랑의 공부하기/부동산 공부하기

집값 잡으려다 `거래 실종`…뚝 끊긴 서울 아파트 계약

 

 

 

 

 

 

9574610771, 용산·동작 집값도 하락세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 등을 포함한 9·13 부동산종합대책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이 한 달 새 80% 급감했다. 복합적인 효과를 감안해야 하는 정책수단을 `집값을 잡겠다`는 일방적인 목표만을 위해 쏟아내다가 경기가 악화되는 타이밍에 아예 시장 거래를 끊기게 만들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선 국토교통부가 이제 다시 거꾸로 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부동산시장에 경기부양책을 써야 할 것이란 우려 섞인 시선도 나온다. 1일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계약일 기준)에 따르면 지난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771건을 기록했다. 이는 9·13 부동산대책이 있었던 9(5746) 대비 86% 감소한 수치다. 월평균 4000건 밑으로도 떨어진 적이 없던 매매 거래량이 올해 가장 큰 폭으로 급감하며 올해 처음으로 세 자릿수에 머물렀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은 신고일이 아닌 계약일을 기준으로 집계되기 때문에 시장 상황이 즉각적으로 반영되는 특징이 있다. 올해 초 집값 상승 후 지난 2분기에 4000~5000건을 유지하며 안정화 추세를 보이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7~8월 급등했다. 77052건이 거래된 서울 아파트는 814960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9·13 대책 직전까지 매매량 폭증이 이어졌다. 실제 91~12일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4487건에 달해 9월 전체 거래량의 78%를 차지했다. 하지만 9·13 대책 이후 약 한 달간 거래 냉각기가 이어지면서 10월 거래량은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락률만 따져보면 작년에 나왔던 8·2 부동산대책보다도 후폭풍이 컸다. 작년 714950건에 달했던 거래일 기준 매매 거래량은 85115건으로 65% 감소했다. 이해 비해 9·13 대책을 전후해선 8·2 대책보다도 20%포인트 이상 더 급감했다. 특히 강남 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최근 들어 집값이 많이 오른 지역은 10월 거래량이 전월 대비 10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9829건에서 1084건으로 줄어든 강남 3구 아파트 거래량은 90% 감소했다. 송파구는 421건에서 32건으로 줄어 자치구 중 가장 높은 94%의 감소율을 보였다. `마용성` 역시 483건에서 61건으로 감소해 전달 대비 88%가량 감소했다. 이런 상황에서 강남권에서 촉발된 서울 집값 하락세는 이번주 용산·동작구까지 번졌다. 이날 발표된 한국감정원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0.02% 상승했지만 8주 연속 그 상승폭이 줄었다. 특히 올해 아파트 가격 상승을 주도해온 용산구는 전주보다 0.03%포인트 하락해 -0.02% 변동률로 무려 310개월 만에 가격이 떨어졌다. 동작구 역시 0.02% 하락하며 201793주 이후 약 13개월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전주 가격이 떨어졌던 강남 3구는 이번주 하락폭을 키웠다. 서초구는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낮은 -0.07%의 변동률을 보였고, 강남구는 전주 대비 0.04%포인트 하락한 -0.06%를 기록했다. 송파구 역시 -0.05%의 변동률로 3위에 올랐다. 서울 전셋값 역시 19주 만에 하락했다. 전주 0.04% 상승했던 서울 전셋값은 0.05%포인트나 떨어지며 -0.01%를 기록했다. 재건축 이주 수요 분산과 경기도 유입 가구가 늘어나며 수요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9·13 대책의 여파가 고스란히 거래량 감소와 가격 하락으로 반영된 것"이라며 "거래량 감소로 매도인 우세장이 매수인 강세장으로 상황이 뒤바뀌면서 당분간 집값 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집값 하락으로 거래가 끊기다 보니 부동산중개업 매출도 최근 5개월째 하락했다. 금융위기 후폭풍에 따른 부동산시장 침체 이후 약 6년 만에 최장 기록이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9월 부동산업 생산지수는 100.7(2015년 기준치=100)1년 전보다 2.8% 하락했다. 부동산업 생산지수는 부동산중개업의 중개수수료와 부동산 임대·공급업 매출액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국토부가 집계한 부동산 거래액을 기초로 작성된다.(20181030일 매일경제 기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