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태랑의 공부하기/부동산 공부하기

서울에 `생활형 스마트시티` 2곳 만든다

 

 

 

 

 

 

서울시 2개 자치구 선정해, 내년 3`특구`로 지정
스마트 쓰레기통·가로등, 실증 기술 적용해 테스트

 

 

  서울시25개 자치구 가운데 2개 자치구를 연내 선정해 스마트 가로등·스마트 벤치 등 생활형 정보기술(IT)이 적용되는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특구`로 지정한다. IT기업들이 현재 개발한 사물인터넷(IoT)이나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서비스를 실제 생활 현장에 상용화할 수 있는지 먼저 테스트한 뒤 시 전체로 확산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28일 서울시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시는 최근 25개 자치구에 공문을 보내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특구 지정 공모` 사업을 알리고 관심이 있는 자치구는 11월 말까지 신청서와 제안서를 제출하라고 통보했다. 시는 응모한 자치구를 대상으로 12월 중 두 차례 심사를 거쳐 2개 자치구를 선정하고 내년 3월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특구를 지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자치구 2곳은 내년부터 2021년까지 3년 동안 매년 6억원씩 총 18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총사업비 36억원 가운데 서울시가 80%30억원을 지원하고, 나머지는 선정된 자치구가 3억원씩 부담하는 구조다. 자치구는 사업 제안 단계에서 안전교통 복지환경 등 지정 분야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2개 사업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분야 제한 없이 선택 가능한 3개 이상 희망 사업을 정해 테스트를 수행하면 된다.

 

 

 

  이번에 선정하는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는 현재 대규모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이 진행 중인 서울 마곡산업단지나 세종·부산 등처럼 국가 차원의 새로운 스마트시티를 건설하겠다는 차원의 접근과는 다른 생활밀착형 스마트시티 콘셉트이다. 어린이집 실내 공기질을 측정해 부모가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거나, 전통시장에 화재감지기를 설치해서 소방서에 실시간으로 통보돼 출동하도록 만드는 등 현재 개발된 스마트 기술을 현장에 적용해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운영은 우선 시범사례를 만들어 다른 자치구에도 참고가 되도록 하는 게 목적"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현재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 서울캠퍼스를 가로지르는 지역상권인 참살이길에도 사물인터넷과 연계한 쓰레기통·가로등·벤치 등을 설치하는 `스마트 스트리트` 조성사업을 캠퍼스타운 도시재생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의 테스트베드 특구 지정 추진은 정부가 진행할 예정인 `스마트도시 챌린지 프로젝트 사업`과도 맥을 같이한다. 스마트도시 챌린지 사업은 지방자치단체가 스스로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을 잡아내 어떻게 스마트 기술을 적용할지 제안하고 서로 경쟁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선정된 지자체에 예산과 스마트 기술, 규제 완화 등을 지원한다.(20181029일 매일경제 기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