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태랑의 정보통/기타 정보

전세난에…28년만에 막내린 `1000만 서울`


인구유입 최다 경기도 1259

2030 "서울 떠날 용의" 70%

    

서울시의 '인구 1000만명' 시대가 막을 내렸다. 인구 1000만명을 처음 넘어선 1988년 이후 28년 만이다. 높은 집값과 전세금 고공 행진으로 주거 불안이 커지면서 '탈서울'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고, 전국적인 저출산 현상으로 앞으로는 서울시가 인구 1000만명을 유지하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1일 행정자치부가 발표한 전국 주민등록통계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서울의 주민등록인구는 9995784으로 집계됐다. 서울 인구는 지난해 3월 이후 15개월째 전월 대비로 감소세다. 이 기간에만 109422명이 줄었다. 올해 들어서도 13644, 24276, 34673, 46609, 57195명 등으로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전국에서 서울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519.37%를 기록했다. 인구 4명 중 1명이 서울시민이던 1992(24.6%)보다 크게 떨어진 수치다. 서울의 인구 비중은 2013(19.8%) 처음 10%대로 떨어진 이후 201419.7%, 201519.4% 등으로 꾸준한 하락세다.

 

통계청 관계자는 "서울에서 경기 등지로 전출할 때 작성한 전입신고서를 살펴보면 전입 사유로 주택 문제가 가장 많았다"고 설명했다. 즉 서울 인구 1000만명 붕괴에는 30·40대 젊은 층이 전세난민으로 서울 밖으로 나간 게 주원인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서울에서 순유출한 30·40대 인구는 73223명으로 전체 순유출 인구의 53.3%를 차지했다. 앞으로도 서울시의 인구 감소는 꾸준히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해 서울연구원이 진행한 '서울시 주택 성향의 변화 특성과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앞으로 주거 이동 의향을 묻는 설문조사에서 전체 서울 가구의 49.5%가 옮길 의사가 있다고 답변했다. 특히 도시 인구의 중심축인 20·30대에서 10명 가운데 7명꼴인 71.1%72.7%가 서울을 떠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유출된 서울 인구를 흡수한 경기도 인구는 늘어나고 있다. 5월에 12594829명을 기록해 2010년보다 6.85% 증가했다. 경기 인구는 200310206851명으로 처음 1000만 선을 넘어선 이래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김포·수원·광주·파주·화성·남양주 등 서울 출퇴근이 가능한 인접 지역에서 큰 폭의 증가세가 나타났다. 한편 올해 5월 말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는 모두 51601265으로 집계됐다.(201662일 매일경제 기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