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인중개사 자격시험에 도전하게 된 동기 |
그런데 아무리 고민해도 가슴에 와 닿는 그 무엇이 없었다. 변호사, 변리사, 법무사, 세무사와 같은 전문직! 참 좋기는 하다. 그런데 30대 중반이며 직장생활을 해야 하는 내가 공부해서 자격증을 취득하기란 그리 녹녹하지 않을 것만 같았다. 오히려 그런 생각 자체로 머리에 현기증부터 났다. 너무 어렵게 생각했기 때문이리라....그 다음 생각한 것이 공인중개사, 주택관리사 등 당시 조금 시험이 쉽다고 생각한 전문분야다. 특히 공인중개사는 우리들의 생활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일이므로 다소 흥미롭기까지 했다. 그리고 시험과목이 다른 전문직 시험과목보다 많지 않았으며 평균이 60점 이상이고 과락 40점 미만만 없으면 합격한다는 것을 알고 도전해 보기로 마음먹었다.
2.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결코 쉽지만은 않다. |
그 때는 인터넷 강의가 없었으므로 학원에 등록하거나 독학을 하는 방법 밖에는 없었다. 학원에 등록하는 것은 퇴근시간이 일정해야 하는데 정해진 퇴근시간이 없는 내가 학원에 등록하여 공부하기는 어려웠으므로 독학을 하기로 하고 교재를 구입하여 공부를 시작했다. 그해 10월 말 시험이 있었으니 약 3개월의 공부기간이 있었던 셈이다. 한번 나 자신을 테스트 해 볼 겸 해서 그해 시험에 응시원서를 내고 시험을 보았다. 그런데 결과는 1, 2차 모두 낙방이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공인중개사시험을 너무 가볍게 본 것이 패인의 원인인 것 같다. 모의고사 한번 보지도 않고 본고사를 보았으니 출제경향도 모른채 시험을 본 것이다. 공부기간이 짧기도 했지만 받아 본 시험지의 지문이 왜 그렇게 긴지 제한 시간에 다 읽고 답을 고르기란 정말 쉽지 않았다. 그해 시험에서 낙방한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2 001년도는 2차 과목만 공부하면 되었기에 마음에 여유가 생겼다. 그래서 각종 수험학원 등에서 주관하는 공인중개사 공개강좌에 참석하기로 마음먹고 휴일날 열리는 공개강좌를 열심히 찾아 다녔다. 서울시 교통회관, 동국대 강의실, 한양대 강의실 등에서 유명강사의 강의를 들으며 공인중개사로서의 역량을 높여 나갔다. 그리고 문제 풀이에 중점을 두고 모의고사 문제집을 사서 실전과 같이 시간을 체크하며 시험을 치렀다. 그 결과 그해 10월 중순에 치러진 제12회 공인중개사시험에 합격할 수 있었다.
3. 모든 자격증 중에서 공인중개사 자격증이 단연 으뜸 |
또 부동산중개업소는 개업하는데 다른 업종에 비하여 비용이 많이 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관리비나 운영비용 또한 저렴하다. 그리고 영업시간도 비교적 자유롭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해마다 공인중개사 자격시험에는 10만명 이상이 응시원서를 접수하고 그중 1만5천여명 정도가 합격하니 눈에 띄는 것이 부동산중개업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