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태랑의 공부하기/부동산 공부하기

5대 광역시 2만가구…`분양성적표` 촉각

 

 

 

 

 

서울 집중된 9·13 규제 후 쏟아지는 지방 분양

전년대비 40% 공급 늘어, 집값 상승가도 대구·광주선

각각 5600가구, 2500가구씩, 침체된 부산 11천가구

대구·광주 등 흥행 무난할 듯, 부산·울산 등 미분양 쌓이면

기존 집값타격 등 `이중고`

 

 

  이달부터 연말까지 지방 5대 광역시 분양 시장에 큰 장이 열린다. 2만가구를 훌쩍 넘는 물량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나 증가한 물량이다. 최근 지방 부동산 시장은 정부의 규제 여파로 부산 대전 울산 등은 침체에 빠졌던 반면, 대구 광주 등은 집값 과열을 빚는 등 다른 행보를 보여왔다. 연말까지 굵직굵직한 대단지 분양 결과가 향후 지방 부동산 시장의 `바로미터`가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5일 부동산114에 의하면 올해 10~12월 부산 11019가구, 대구 5651가구, 광주 2519가구 등 5개 광역시에서 총 21274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이는 전년 동기(15431가구) 대비 6000가구가량 늘어난 수치다. 특히 이달에 5168가구에 불과한 분양 물량은 117935가구, 128171가구로 점차적으로 늘어나 연말께 지방 분양 대전이 벌어질 전망이다. 연말까지 분양 물량이 대거 몰리는 것은 전반기 침체 국면에 빠졌던 부산·울산·대전의 경우 호전 조짐을 보이고 있고 기존에도 집값이 상승세를 나타냈던 대구·광주 등에선 소비자들의 추가 공급 요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감정원 주간 시세자료 분석 결과 광주 아파트 매매가9·13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인 9240.15% 상승하며 전주(0.43%)보다 진정되는 모양새였다. 하지만 지난 1일 조사 결과 0.38% 상승해 전주보다 0.23%포인트 올랐다. 대구 역시 이번주 0.14% 상승하며 전주(0.12%)보다 상승폭을 키웠다. 대전도 전주보다 0.01%포인트 상승0.03%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상승폭이 2주 연속 대거 낮아진 서울·수도권과 달리 지방광역시만 유독 반등에 성공한 셈이다. 부산과 울산은 여전히 마이너스 상승률을 나타냈지만 9·13 대책 직후 오히려 하락폭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음달 부산에서 분양을 준비 중인 A사 관계자는 "9·13 부동산 대책에서 부산에 대한 조정지역 해제 등 조치는 없어 다소 실망스럽지만 추가적인 규제 강화도 없었기 때문에 `이제 최악은 지난 것 아니냐`는 반응"이라고 말했다. 침체 국면인 부산과 울산에서도 `바닥을 친 것 아니냐`는 심리가 일면서 공급이 몰리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그러나 작년 대비 40% 가까이 늘어난 광역시 공급량이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는 지방 집값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두고 해석이 분분하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대표는 "지방에서 중도금을 연체한 대출보증 사고액수가 폭발적으로 늘었다는 통계도 나오고 있다""이런 대규모 물량이 분양 시장에 나와 소화되지 못하고 미분양으로 쌓일 경우 시장에 미치는 여파가 어마어마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분 전문가는 광주·대구 등의 경우 이견 없이 하반기에도 흥행 신화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박합수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공급 물량이 몇 년간 적었던 대구, 광주 등에서 자체적으로 수요가 증대한 것에 따른 자연적 성장"이라며 "부산·울산 등 지역경제가 어려움을 겪는 지역은 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그 외 광역시는 부동산 규제와 무관하게 성장을 연말까지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침체를 면치 못했던 부산 역시 최근 동래 래미안 아이파크가 의외의 흥행을 기록하면서 기대감이 다시 커지고 있다. 동래 래미안 아이파크지난 1일 일반공급물량 1302가구를 대상으로 1순위 청약을 받은 결과 22468명이 신청해 평균 17.26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반면 금리 인상과 전반적인 시장 위축으로 청약시장을 비롯해 가격 정체기가 올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특히 하반기 가장 큰 악재로 꼽히는 금리 인상이 가시화할 경우 서울·경기뿐 아니라 지방까지 미치는 악영향이 상당할 것이란 예측이다. 안명숙 우리은행 부동산투자지원센터 부장은 "당장은 서울·수도권 규제로 인한 반사 효과를 누릴 수 있으나 금리 및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 지방 역시 시장 축소가 수반될 수밖에 없다""정부의 부동산 대책을 예의 주시하며 지방 부동산 투자 여부를 결정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2018106일 매일경제 기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