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태랑의 공부하기/부동산 공부하기

여의도~강남이 단 5분… “항공택시, 부동산 시장도 바꿀 것”

 

 

항공택시, 2025년부터 국내 시범테스트… “2030년 상용화”

 

 

스마트폰 앱으로 서울 마포에서 강남 수서역까지 가는 ‘하늘을 나는 택시(UAM)’를 검색하자, 여의도 포트(정거장)에서 수서 포트까지 5분 만에 가는 ‘최적경로 추천’이 뜬다. 예약 버튼을 누르고 결제하자 예약이 확정된다. 포트까지 데려다 줄 택시가 3분 안에 도착한다는 메시지가 뜬다. 지난 12일 서울 마포 문화비축기지에서 열린 ’2021 스마트 모빌리티 엑스포(SSME)’의 한화시스템 부스에서 해본 UAM(Urban Air Mobility·도심항공교통) 가상 예약 체험이다. 공상과학영화 속 얘기라고 생각했던 하늘을 나는 택시가 빠르면 2025년부터 국내에서도 시범 테스트를 시작할 전망이다. 이번 엑스포에 참가한 UAM 관련 기업만 40여 곳. 국토교통부 등 정부와 관련 업체 관계자들은 2030년에는 UAM 국내 서비스가 상용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여의도~강남 단 5분…2030년 하늘 나는 택시 뜬다

 

UAM은 전기로 구동하는 수직 이착륙 소형기체(eVTOL)를 이용한다. 수직으로 뜨고 내려 활주로가 필요 없다. 해외에선 기체 개발까지 마친 기업이 여럿이다. 독일 ‘릴리움’은 2019년 5월 5인승 수직이착륙 전기 항공기 ‘릴리움제트’의 첫 비행에 성공했다. 50분 만에 300㎞를 이동한다. 미국 ‘조비 항공’은 수직 이착륙 기체 시범 비행을 1000번 넘게 실시했다. 인텔·도요타로부터 투자받았고 작년 우버 에어택시 부문을 인수했다. 2024년 서비스 시작을 준비하고 있다. 국내에선 한화그룹의 방산·정보통신 계열사 한화시스템과 현대자동차가 초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작년 2500만달러(약 283억원)를 들여 미국 개인 항공기 개발 전문기업 오버에어 지분 30%를 인수, 조종사를 포함해 4명까지 탑승이 가능한 5인승 비행체 ‘버터플라이’를 개발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틸트로터(수평·수직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프로펠러)를 전후방에 2개씩 장착한 버터플라이 모형을 이번 엑스포에서 공개했다.

 

 

틸트로터 1개가 고장 나도 나머지 3개로 안전비행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김연철 한화시스템 대표는 “사업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UAM 서비스 법인을 올해 미국에 설립하겠다”고 밝혔다. 2025년 시범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다인승 에어택시를 개발 중인 현대자동차는 KT와 손잡고 UAM용 통신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고, 현대건설·인천국제공항공사와 UAM 정거장을 건설·운영하기 위한 팀을 꾸렸다. 무인 셔틀이 다니며 승객을 태우고 에어택시 정거장까지 데려다주는 운용 청사진도 발표했다. 현대차는 2028년 서비스 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KT는 향후 UAM 운항 시스템을 통제할 무인 비행체 교통관리 플랫폼 구상을 공개했다. 에어택시 비행 계획의 접수와 승인 등 운행 과정 전체를 관리하는 무인 관제 플랫폼을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옥상에서 뜨고 내려…부동산 시장 격변 예상

 

증권·투자업계에서는 UAM이 전 세계 부동산 시장을 바꿔놓을 것이라고 분석도 나온다. 하이투자증권은 최근 ‘UAM, 3차원 길을 연다’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UAM이 뜨고 내리는 정거장을 구축하는 데 대도심 건물 옥상이 활용될 수 있다”며 “지금까지 건물 1층에 스타벅스 같은 가게의 입주 여부가 부동산 가치를 좌우했다면 앞으로는 옥상에 UAM 거점이 생기느냐 여부가 중요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UAM이 상용화되는 2030년쯤엔 국내 부동산 시장도 기존의 강남과 마포·용산·성동 중심에서 재편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우버는 매쿼리·릴레이티드 같은 부동산 개발사와 손잡고 고층빌딩 옥상을 UAM 이착륙 거점으로 활용하는 ‘스카이포트’ 전략 투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UAM 상용화를 위해선 넘어야 할 산이 아직 많다. 안전성 확보 같은 기술적 문제, 자율주행에 대한 규제 완화 같은 이슈부터 풀려야 한다. 현대차 관계자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최소 미·유럽의 항공 당국이 안전성 검증 인증을 해야 상업 판매가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2021년 6월 14일 조선일보 기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