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18년까지 유예 방침에 민주당 “조세 형평성 어긋나”
소액 임대소득자에 대한 과세 여부가 쟁점으로 부상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7월 발표한 ‘2017년도 세법개정안’을 통해 내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던 2000만원 이하 주택 임대소득에 대한 과세(세율 14%)를 2년간 유예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야당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28일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조세소위원회에서 여야는 과세 유예 여부를 놓고 대치를 이어가며 결론을 내지 못했다. 그간 임대소득 과세 여부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정부는 지난 2014년 2월 ‘주택 임대차 선진화 방안’을 통해 임대소득 과세 방안을 발표했다. 대다수 임대 사업자들이 세금을 내지 않는 ‘비정상’을 바로잡기 위해서다. 대신 2000만원 이하 소득에 대해선 ‘종합 과세’가 아닌 ‘분리 과세(특정한 소득을 종합소득에 합산하지 않고 분리해 과세)’를 통해 세금을 상대적으로 적게 내게 하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하지만 임대소득으로만 생활하는 은퇴자가 ‘세금 폭탄’을 맞는다는 비판이 제기됐고 부동산 시장도 위축 조짐을 보이자 그해 정부는 과세 조치를 올해 말까지 유예하며 물러섰다. 하지만 과세 시점을 앞두고 정부는 과세를 또 2년 연기하겠다고 발표했다. 월세민이 늘고 있는 시점에서 임대 소득에 세금을 매기면 집주인들이 세금 부담을 세입자들에게 전가해 서민 가계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논리였다.
건강보험료도 문제가 됐다. 현재 소득세를 내지 않는 임대사업자들에게 과세를 할 경우 전체 과세 대상자의 48%가 건강보험료를 새로 내야 할 상황이다. 은퇴자 등 생계형 임대소득자는 세금을 낼 만한 기타 소득이 없기 때문에 건보료가 부과되지 않았다. 건보료 부담이 세금보다 훨씬 크다. 예컨대 다른 소득 없이 5억원짜리 주택 2채를 가지고 임대소득이 2000만원인 은퇴자의 경우 소득세는 연 56만원을 내게 되지만 건강보험료는 276만원을 부담해야 한다. 여기에 과세가 현실화될 경우 가계부채 관련 각종 대출 규제로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을 더 위축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런 이유로 여당은 정부안의 관철을 주장하고 있다. 이현재 새누리당 기재위 간사는 “임대소득 과세로 늘어난 부담을 세입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서민 부담과 부동산 경기에 끼치는 악영향을 우려하면 2년간 유예를 더 연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야당은 과세를 하고 대신 건강보험료 징수를 미루면 된다는 입장이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기재위 간사는 “지역보험자로 바뀌며 늘어나는 과세분은 건보료 부과체계가 개편될 때까지 유예하면 된다”며 “(과세 유예를) 연장하는 것은 형평성에도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여야는 29일 조세소위를 다시 열어 논의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의 의견도 엇갈린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전문위원은 “세금 부과에 대한 당위성을 따지는 건 좋지만 정부가 미루기로 약속한 부분을 정치권에서 파기할 경우 시장에 혼란을 줄 수 있다”며 “임대주택 공급이 줄어드는 등 부동산 시장도 위축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안창남 강남대 세무학과 교수는 “영세 치킨집 사업자도 세금을 내는데 임대소득자가 세금을 내지 않는 건 비정상”이라며 “임대소득자의 건강보험료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이들 대부분은 건보료를 감당할 여력이 있다”고 말했다.(2016년 11월 29일 중앙일보 기사 참조)
'명태랑의 공부하기 > 부동산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대출, 내년부턴 어디서 빌렸든 원리금 쪼개 갚아야 (3) | 2016.12.13 |
---|---|
强규제속 4250만원짜리 분양 성공할까 (8) | 2016.12.05 |
서울 아파트? 20·30대 한푼도 쓰지 않고 12년 넘게 모아야… (10) | 2016.11.28 |
가계부채 후속대책 / 내년부터 잔금대출 분할상환 의무화 (6) | 2016.11.25 |
내달부터 소득 입증하지 못하면 아파트 잔금대출 못받는다. (6) | 2016.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