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후 삼성그룹의 명운은 소프트웨어의 경쟁력에 의존
삼성은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체 연구·개발(R&D) 인력 가운데 소프트웨어 부문의 비중을 50%에서 70%로 늘리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여러 차례 소프트웨어 인재 확보에 나설 것을 강조한 것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1. 향후 삼성그룹의 명운은 소프트웨어 경쟁력에 의존 |
이모 삼성그룹 커뮤니케이션 팀장은 12일 “수요 사장단 회의에서 ‘삼성전자의 경우 R&D 인력 가운데 50%가 소프트웨어 개발인력인데, 이 비중이 장기적으로 70%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는 발언이 있었다.”고 소개했다. 현재 삼성전자의 연구개발 인력은 5만 명가량이며, 이 가운데 소프트웨어 개발인력은 2만 5,000명에 이른다.
최근 이건희 회장은 향후 그룹의 명운이 소프트웨어의 경쟁력에 달려 있다고 보고 틈나는 대로 임직원들에게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구글과 휼렛패커드(HP) 등 글로벌 IT 기업들의 움직임과 삼성과 애플 간 특허분쟁 역시 소프트웨어 시대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것이라는 게 삼성의 설명이다.
2. 소프트웨어 인력의 수급 문제 |
삼성 계열사 사장단은 김모 카이스트 전산학과 교수와 대학과 기업 간 소프트웨어 인력 공급과 수요에 대한 미스매치(불균형) 문제와 인력 확충 방안을 논의했다. 하지만 국내 대학에서 소프트웨어 인력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대기업에 가면 푸대접을 받는다.’는 인식이 강해 대기업보다는 벤처기업이나 게임업체 입사를 선호하고 있어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인도 등지에서 인력을 대거 데려오지만 애로점이 많다고 한다. 언어 소통 등에서 국내 인력과 비교가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별도의 식단까지 만들어야 할 정도로 신경 쓸 부분이 많다고 한다.
3. 소프트웨어 인력 확보방안 |
이에 따라
삼성은 소프트웨어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인 하반기 공채부터 신입사원 채용 때 소프트웨어 직군을 별도로 뽑고 있으며, 여러 대학과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이날 김모 교수는 국내 소프트웨어 경쟁력이 미흡한 이유에 대해 ‘활용과 투자가 저조하다.’는 점을 들며 사회의 인식 전환을 요구했다. IT 인프라 강국임에도 소프트웨어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다 보니 소프트웨어 사용권만 사놓고 제삼자에게 배포·대여하는 일이 일상화돼 있다는 것이다. 귀담아 들어야할 대목으로 향후 소프트웨어 관련 인력의 도약이 기대된다.
'명태랑의 정보통 > 기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업계, 특성화고 졸업자 채용 확대 및 고졸인력 수행직무 발굴 (35) | 2011.10.27 |
---|---|
제22회 공인중개사 시험, 부동산학개론, 부동산공법, 세법 예년보다 어려웠다. (40) | 2011.10.25 |
삼성, 전체 연구개발 인력 중 50%인 SW연구 인력을 70%로 확대 (10) | 2011.10.13 |
롯데그룹, 「현장 실무형 인재」를 첫 고졸 이상으로 공채 (24) | 2011.10.05 |
2011년 8월 취업자 지난해 8월 취업자수 보다 49만명 증가 (26) | 2011.09.24 |
삼성, 하반기 고졸 사원 3,700명 포함 1만2천7백 명 공개 채용한다. (16) | 2011.09.09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오호.. 앞으로 어떻게 나올지 기대됩니다~!
예, 저도 기대됩니다. 소프트웨어 관련자분들이 어떻게 발전하는지....
즐거운 주말되세요
삼성이 소프트웨어에 신경을 쓴다니 이거 정말 좋은 소식이군요
좋은 소식이라고들 합니다.
어째든 발전해서 살기가 좋아졌으면 합니다.
즐거운 시간되세요
개발자들이 대우 받았으면 좋겠네요
그래야 겠지요.
양질의 소프트웨어 개발해서 이익을 취해야 겠지요
즐거운 주말 되세요
설마 하드웨어 인력 20프로가 감축되는건 아니겠죠? ^^;
소프트웨어 인력을 50%에서 70%로 늘린다고만 하던데...
모르겠네요 기존 연구인력 범위에서 조정을 할려는지...
즐거운 주말 되세요
삼성이 하도 박스장사하는 회사라는 소리가 지겨웠나 보군요 ㅎㅎ
그럴지도 모르겠습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