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태랑의 공부하기/부동산 공부하기

부동산시장 긴급 진단, "집값 상승 버블 아니다"…단기 급락 가능성 희박

 

 

부동산 전문가 긴급설문 "지역별 탈동조화 가속"

 

  "정부가 가계부채 대책이라고 내놓은 뒤로 집값이 더 올랐어요. 빚 안 지고 부동산 투자 안 한 사람만 바보가 된 것 같아요." 결혼 8년 차인 김 모씨는 올가을 전세 만기를 앞두고 고민이 깊다. 은행 융자를 받아 집을 사자니 주택시장 '거품론'이 우려되고 전세를 연장하자니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집값 소식에 매일 억장이 무너진다. 한국인들에게 '부동산 불패' 신화에 대한 기억은 강렬하다. 하지만 지금 한국 경제는 저금리, 저성장, 인구절벽이란 뉴노멀의 터널 앞에 서 있다. 실수요자도 투자자도 혼란 속에 결정장애를 경험한다. 10일 매일경제신문이 부동산 시장 전문들과 함께 긴급 시장진단에 나선 이유다.

 

  전문가들은 최근 부동산 시장이 단기 과열 양상을 띠고 있지만 전국적으로 볼 때 '버블'이라고 하기엔 이르다는 평가. 진단에 참여한 20명 중 14명이 "최근 집값 상승은 '버블'이 아니다"고 평가했다. 건국대 부동산학과 심 모 교수는 "올해 상승률이 높긴 하나 30년 연평균 상승률 3.8%를 감안하면 그리 높은 편이 아니다"고 말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9월 말 현재 올해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0.78% 상승했다. 반면 강남 재건축 아파트의 3.3당 평균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4000만원을 돌파하고 서울 지역 재건축 아파트는 9월 말 현재 연초 대비 무려 13.36%나 상승하는 등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강남 재건축 시장 등 '안전자산'으로 평가되는 지역과 나머지 시장 간 '탈동조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며, 이런 현상은 점점 심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부동산 시장 과열의 원인으로는 '저금리'를 꼽았다. 집값 피크였던 2006년엔 고금리였지만 이번엔 저금리를 이용해 융자를 받아 투자하는 '빚테크'가 부동산 시장을 달구고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 시장 급락 가능성에 대해서는 단 1명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공급이 많은 일부 지방은 분양가 대비 30% 가까이 조정받을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지만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서울·수도권 상승 지속, 지방 하락이라는 의견을 보였다.(20161010일 매일경제 기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