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태랑의 공부하기/부동산 공부하기

강북마저…전용면적 59㎡가 9억 육박

 

 

 

 

경희궁자이·옥수파크힐스 등 입주 5년내 새 아파트 강남수준

6·19로 분양권전매 막히자 실수요에 임대 투자까지 몰려

 

 

  "전용 59시세가 9억원을 넘어서고 있어요. 매물도 별로 없지만 그나마 나왔던 물건도 매수세가 붙으면 다시 들어갑니다. 이런 식으로 2월 입주 초기에 8억원 초반이었던 시세가 계속 올라왔어요."(경희궁자이 근처 A공인중개업소 관계자) 최근 서울 강북권 새 아파트의 소형 평형 시세가 9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그동안 서울 강남권에서만 10억원을 넘어서는 소형 평형을 찾을 수 있었으나 강북권에서 찾을 날도 얼마 남지 않은 듯하다. 1~2인 가구 증가와 60대 이상 자산가들의 임대수익용 상품으로 주목받으며 강북권 소형 면적(전용면적 60이하) 몸값이 점점 올라가는 모양새다. 6·19 부동산대책으로 서울 강북지역도 입주 때까지 분양권 전매가 막히면서 새 아파트에 '풍선효과'가 나타나는 분위기다. 23일 부동산114KB시세, 근처 공인중개업소 등에 따르면 종로구 '경희궁자이'의 전용면적 59호가는 9억원까지 치고 올라왔다. '4대문 인근 재개발 아파트'로 주목받은 종로구 교남동 경희궁자이는 2월 입주 당시 가격이 81000만원이었다. 실거래가로는 5월 말 86500만원에 거래된 것이 마지막 기록이다.

 

  강북과 강남 사이에 위치해 최근 인기가 올라가는 성동구 옥수동 일대도 기세가 만만치 않다. 옥수동 'e편한세상 옥수파크힐스'6월 말 전용 5983000만원에 거래됐다. 현재 호가는 85000만원을 넘어 형성됐다. 작년 12월 입주 당시 가격이 75000만원이었음을 감안하면 7개월 만에 13.3%나 뛴 셈이다. 광진구, 용산구, 마포구 일대도 9억원 선 돌파를 노리는 아파트들이 상당수다. 광장동 '광장힐스테이트' 전용면적 59형 역시 85000만원을 돌파하며 고공행진 중이다. 작년 말 76000만원대에서 12% 상승했다. 용산구 이촌동과 마포구 아현동 일대 역시 '한강 대우''래미안 마포웰스트림' 등이 각각 8억원, 79000만원 선을 호가한다. 강북권 새 아파트들의 가격은 비슷한 평형의 강남권 아파트와 비교해도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재건축 이슈로 시장 관심을 받고 있는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전용 62가격은 93000만원이다.

 

 

  강남구 도곡동 쌍용예가 전용 59도 매매가가 9억원 언저리다. 이 밖에 강남구 수서동과 일원동, 서초구 내곡동과 양재동, 송파구 송파동 일대 아파트들의 소형 평형들도 가격이 75000~85000만원에서 형성되어 있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전문위원은 "강북권 대표 아파트들의 20평형대 가격은 강남 3구의 웬만한 아파트와 비교해도 떨어지지 않는다""물론 비슷한 수준의 강남권 아파트들은 연차가 15~20년 정도로 애매한 것이 특징이다"라고 설명했다. 상승률만 따지면 강남권 대표 아파트 소형 평형도 부럽지 않다. 작년 12월 말 대비 상승률을 살펴보면 잠실 엘스 전용 5914.5%, 반포자이 전용 5911% 를 기록 중이다. 강북 소형 아파트 가격이 치솟은 건 1~2인 가구가 늘어난 이유가 크다. 통계청의 '2015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1인 가구와 2인 가구 비중은 각각 28%27%에 이르는데, 2030년이 되면 각각 37%33%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은퇴 후 임대수익을 확보하려는 60대 움직임도 분주하다. 한국감정원의 조사로는 2015년 아파트 구입자 중 60세 이상은 112036명으로, 2011(71254)보다 57.2% 늘었다.

 

 

  물론 이 같은 상승세는 지역과 단지별로 천차만별이다. 아파트의 경우 입주연도와 학군·교통 등 입지, 대단지 커뮤니티 여부 등에 따라 같은 단지라 하더라도 시세가 적게는 500만원, 크게는 5000만원 이상 갈린다. 임채우 KB국민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이들 지역은 특히 학군보다는 교통·상업 편의시설 등을 중시하는 3040 실수요자들이 늘수록 가격이 추가로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 강북 소형 아파트의 급상승세를 과열 신호인지 아닌지 잘 판단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단기간에 과할 정도로 올라 투자 목적의 매매라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2017723 매일경제 기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