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태랑의 공부하기/부동산 공부하기

직방이 광고료를 일방적으로 20% 올렸다는데....

 

 

  "한 달 광고료가 갑자기 150만원 더 들게 생겼는데 별 수 있나요. 어디 하소연할 곳도 없고." 1일 찾은 서울 강남구 H공인중개업소의 대표 김 모씨는 최근 '직방'을 통해 광고하던 부동산 매물 개수를 500여 개에서 350여 개로 대폭 줄였다. 이달부터 매물 10개당 15만원 선이던 광고료가 18만원으로 인상되면서다. 한 달에 550개가량 매물을 직방에 올리던 강남구 N공인중개업소도 광고료가 800만여 원에서 약 1000만원으로 껑충 뛰었다. 월 회원료(서울 강남 기준 약 95만원)를 내면 가입할 수 있던 '직방 지하철 프리미엄' 서비스의 혜택이 줄어든 것도 부담을 키운다. 이 서비스는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들이 지하철역 이름으로 검색할 때 결과 창 상단에 해당 공인중개업소 광고를 보여주는 서비스다.

  기존에는 이 서비스 회원이 되면 추가금 없이 매물 10개를 광고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일반적인 매물 광고를 할 때처럼 광고료 18만원을 내고 올려야 한다. N공인중개업소 대표 조 모씨는 "직방에선 '싫으면 하지마라'는 식으로 배짱을 부리는데 힘없는 부동산중개업소들이 계속 목맬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악용한 '갑질' 아니냐"며 "경쟁 업체로 갈아타자는 얘기도 곧잘 나오지만 어디든 이용자 수가 늘면 똑같은 일이 벌어질 것 같아 걱정"이라고 한숨을 쉬며 말했다.

  '다운로드 1200만건'을 기록해 모바일 부동산 중개 앱 업계 1위인 '직방'이 광고료를 대폭 올리면서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2011년 설립된 직방은 부동산 앱 업계의 70%가량(광고 매물 기준)을 장악한 시장지배적 사업자로 성장했다. 이런 우월한 위치를 이용해 독단적으로 광고료 인상을 밀어붙인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직방은 지난달 초 광고상품 가격을 20%가량 인상해 2월부터 적용하겠다는 내용의 안내문을 회원 공인중개업체들에 전달했다. 2014년 3월 유료화 이후 직방 이용자가 10배 이상 증가하는 과정에서 운영비 등 전반적인 관리비용이 크게 늘었고, 앱 홍보를 위한 마케팅에 상당한 비용이 투입되고 있다는 것이 이유였다. '일방통행'식 광고료 인상에 공인중개업자들은 대거 반발하고 있다. 성북구 소재 D공인 대표 유 모씨는 "갑자기 가격을 올리면 어떡하느냐고 항의했더니 '어차피 새로 들어올 사람은 많으니 해지하려면 하라'는 식으로 대답하더라"며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돈을 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직방 측은 부담이 늘어난 것은 인정하면서도 결과적으로 공인중개업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고 해명했다. 직방 관계자는 "매물 1개당 1만원가량 오른 건데, 공인중개사가 거래 1건당 챙기는 수수료 약 35만원을 감안하면 많이 오른 것이 아니다"며 "가격 인상으로 마케팅이 확대되면 공입중개업체도 분명 이익을 볼 것"이라고 주장했다.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오프라인의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자를 연결해주는 O2O(Online to Offline) 업계에서 수수료 분쟁이 벌어진 것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에는 시장 규모 12조원대로 성장한 배달 앱 업계에서 '배달의 민족' '요기요' 등 주요 업체가 자영업자들에게 과도한 수수료를 부과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논란이 됐다. 시장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이용자에 대한 혜택은 계속 늘리고, 자신들의 수익 확보를 위해 서비스 공급자들 부담은 키우면서 발생한 문제다. O2O시장의 대표 모델인 카카오택시도 지난해 공정거래위 국정감사에서 시장지배력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른 바 있다.

  전문가들은 O2O시장이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선 업계 당사자 간의 활발한 소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남명우 성균관대 경영학과 교수는 "O2O 서비스 수수료 분쟁은 특정 업체가 시장지배적 위치에 올라서는 순간 늘 발생했던 반복적인 문제"라며 "O2O 업체와 서비스 공급자가 상호 윈윈할 수 있는 기준점을 마련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2016년 2월 2일 매일경제 기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