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지에 대한 장기투자는 금리 이상의 효율을 얻을 수 없다.
장기투자를 통해 높은 투자수익을 올리기 위해서는 자산가치가 시간가치를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다시 말해 자본시장은 과학과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멈추지 않고 점점 더 가속도를 붙여간다. 인류가 보유한 자산은 그동안 수만 배의 증가를 이루었다. 그럼 토지의 자산가치는 어떻게 변했을까? 한번 답을 찾아보자
1. 토지에 대해서는 장기투자를 하지 않은 것이 옳다. |
토지 한 평의 가치는 과연 어느 정도나 증가했을까? 만약 2,500년 전 로마 시내 중심가에 100평을 가진 귀족의 후손이 지금도 그 땅을 소유하고 있다면 그 땅의 자산가치 증가는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물론 장소에 따랄 다르겠지만, 2,500년 전의 땅값을 현금화해서 복리 이자율로 키웠다고 한다면 지금 그 가치는 얼마나 될까?
단순히 현금을 금고에 보관하는 것 이상으로 어리석은 것이 바로 토지에 대한 장기투자다. 토지는 기본적으로 거주와 생산시설의 기지일 뿐 그 자체가 능동적 가치를 지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토지에 대해서는 장기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 옳다.
2. 투자 대상으로 토지의 선택은 절대 평균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없다. |
토지에 대한 장기투자는 금리 이상의 효율을 얻을 수 없다. 금리란 유동성의 크기이며, 위험을 부담할 수 있는 용기의 또 다른 표현이다. 사람이 무엇인가에 투자할 때 스스로 감당할 수 있는 위험의 크기는 금리로 표현되고 당시 유동성의 크기 역시 금리로 나타난다. 하지만 토지는 예부터 유동성을 완충하는 장치일 뿐 그 자체가 유동성을 창출하지는 않는다.
문명과 기술의 발달이란 일정 부분 위험부담을 지고서 행하는 투자행위의 결과라고 볼 때, 투자 대상으로 토지의 선택은 절대 평균 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사람들이 주식보다 부동산시장에서 손해를 덜 보고 이익을 많이 본다고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는 부동산은 거래의 특성상 본의든 아니든 주식보다 장기투자를 하기 때문이고 장기투자의 효과를 주식보다 누리기 쉬워서일 뿐이다. 장기투자의 최우선순위는 금리투자를 기준으로 한다. 금리투자는 곧 인류의 자산가치의 평균에 대한 투자이며 가장 적절한 벤치마크 투자수단이다.
'명태랑의 공부하기 > 경제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에 왕도는 있는 것인가? (11) | 2011.06.26 |
---|---|
부자들에게서 배우는 여섯가지 교훈 (5) | 2011.06.12 |
투자를 결정하는 평균값, 평균값의 변화를 읽는 안목을 기르자 (2) | 2011.05.22 |
투자 결정의 핵심은 적정가치를 판단하는 것이다. (0) | 2011.05.15 |
투자의 기본원리는 시세를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0) | 201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