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태랑의 공부하기/경제 공부하기...

국내전문가 10명중 4명…"3년내 금융위기 가능성"

 

  금융 전문가 10명 중 4명이 1~3년 내에 국내 금융 시스템에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은 국내 금융 시스템의 잠재 위험 요인으로 중국 경기 둔화기업 부실 위험 증가, 가계부채, 저성장·저물가 고착화 등을 꼽았다. 23일 한국은행이 46일부터 20일까지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시스템적 위험 서베이'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 국내 금융 시스템의 주요 위험 요인(복수 응답)을 꼽아 달라는 질문에는 '중국 경기 둔화'라는 답변이 73%로 가장 높았다. 기업 부실 위험 증가(59%), 가계부채(54%), 저성장·저물가 기조 고착화(51%) 등이 뒤를 이었다. 이 가운데 발생 가능성이 큰 위험 요소에 대해서는 저성장·저물가 기조 고착화와 기업 부실 위험 증가가 꼽혔다.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도에서는 가계부채와 중국 경기 둔화, 기업 부실 위험 증가 등의 답변이 우세했다.

 

  이 같은 설문 결과는 작년 10월 조사 때와 달라진 것이다. 구체적으로 '미국 금리 정상화'(72%38%)는 크게 줄어든 데 반해 '기업 부실 위험 증가'라는 답변은 32%에서 59%로 급증했다. '중국 경기 둔화'(90%73%)'가계부채'(62%54%)라는 답변도 작년 10월보다 줄었다. 이에 대해 한은은 "경기 침체와 수요 부진으로 인해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최근 조선 해운 등 불황 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이 추진 중인 점 등이 반영된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68개 금융회사에서 총 78명이 참여했다. 국내 은행 20, 비은행 금융회사 16, 주식 채권 외환 파생 등 금융시장 참가자 32, 해외 금융회사 내 한국투자 담당자 10명이다.

 

  응답회사별로 살펴보면 국내 은행 응답자는 '중국 경기 둔화'라는 답변이 80%로 가장 많았고 기업 부실 위험 증가(75%), 가계부채 문제(60%), 저성장·저물가 기조 고착화(60%) 등도 주요 리스크로 인식했다. 반면 비은행 금융회사 응답자는 88%가 가계 부채 문제를 꼽았고, 해외 조사 대상자는 중국 경기 둔화라는 응답이 90%로 가장 높았다. 아울러 앞으로 1년 이내 단기에 금융 시스템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중 '낮다'는 답변이 49%'높다'(15%)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이에 반해 1~3년 중기에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을 묻자 '높다'는 응답이 40%'낮다'는 응답(19%)보다 매우 많았다.

 

  이 밖에 향후 3년간 금융 시스템 안정성 신뢰도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응답자 53%'보통'이라고 답했다. '높다'33%, '낮다'14% 수준이었다. 이는 작년 10월에 비해 1년 이내 단기 리스크 발생 가능성은 낮아졌지만 1~3년 내 중기 리스크 발생 가능성은 커졌다고 금융 전문가들이 판단한 대목이다. 201510월 조사에서는 1년 이내 단기에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낮다'는 답변이 49%를 차지했고, '높다'는 답변은 15% 수준이었다.(2016524일 매일경제 기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