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급 공무원 평균 연령 30세 초과
자치단체에서 20대 공무원 찾기가 어렵다고 한다. 공무원으로서 첫발을 내딛는 9급의 20대 비율이 크게 낮아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9급으로 근무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평균 연령이 처음으로 30세를 넘어섰다. 2009년부터 공무원임용시험에서 연령 상한이 없어진 것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1. 지방자치단체 9급 공무원 평균연령 분포 |
행정안전부의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에 따르면 2006년 27.3세였던 9급 지방직의 평균 연령이 2007년 28.5세, 2008년 29세, 2009년 29.2세, 2010년 29.7세로 늘었고, 지난해 30.1세로 나타났다.
특히 2006년에는 9급 지방직의 77.1%(1만 8,521명) 대다수를 차지했던 20대 비율이 지난해 58.4%(9,082명)로 줄었다. 반면 2006년 22.4%(5375명)에 불과했던 30대 9급 공무원 비율은 지난해 40.6%(6310명)까지 높아졌다. 또 40대 이상 비율도 2006년 0.4%(107명)에서 지난해 0.8%(130명)로 늘었다.
2.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평균연령 상승 |
전체 공무원 연령도 높아졌다. 지난해 전체 자치단체 공무원의 평균연령은 2006년(40.1세)보다 늘어난 42.9세다. 연령별로 40대가 37.8%(10만 6,143명)로 가장 많았다. 또 30대(29.9%), 50대(23.3%), 20대(9%) 등으로 조사됐다. 20대 공무원 비율이 지난해 가장 높은 곳은 인천(11.5%)이다. 이어 충남(10.8%), 충북(9.8%), 경기(9.6%)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20대 공무원 비율은 8.6%다. 제주(7%), 전북(6.9%), 대전(6.8%) 등에서는 20대 공무원이 매우 드물었다.
5년 전인 2006년 연령별 인원분포와 가장 큰 차이점은 30대 비율이 크게 줄었다는 점이다. 2006년에는 30대 지방직 공무원 비율이 36.2%(3만 5,165명)로 40대 비율(36.4%)과 엇비슷했다. 50대 비율이 많이 늘어난 것도 특징이다. 2006년 50대 비율은 14.5%(3,9579명)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공무원 고령화와 관련, 2009년 공무원임용시험 연령 상한 폐지, 고용악화로 인한 신규임용 연령 상승, 공무원 정년 연장 등을 이유로 들었다.
'명태랑의 정보통 > 공무원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는 노후대비, 자녀는 취업문 좁아... 함께 학원 수강 (14) | 2012.08.26 |
---|---|
계약직과 기능직 공무원을 일반직으로 전환 (34) | 2012.08.15 |
2012년 서울시 7~9급 공채 시험, 전공과목 출제 교수들의 꼼수 (42) | 2012.08.10 |
만주 한인 대한독립선언서 발표 시기는 어느 때일까? (26) | 2012.08.05 |
2012년 국가직 7급 공채 필기시험, 영어와 한국사가 당락 좌우 (32) | 2012.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