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직대제’는 국태민안과 풍요를 기원하던 전통 제례의식이다.
조선시대 나라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며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지내는 국가 전통 제례(祭禮)인 사직대제(社稷大祭)가 9월 18일(일) 낮 12시부터 13시 30분까지 경복궁 서쪽 서촌마을 사직단에서 봉행되었다.
1. 사직대제(社稷大祭)의 의미와 변천 과정 |
사직대제(社稷大祭)는 조선시대 왕과 문무백관이 모두 참여해 토지를 관장하는 사신(社神)과 오곡을 주관하는 직신(稷神)에게 직접 제향을 올리며 국태민안과 풍년을 기원하던 전통 제례의식으로 2000년 10월에 중요 무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된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오랫동안 농업을 생활 기반으로 삼았던 우리 민족에게 땅과 곡식은 나라를 지탱하는 근본이었다. 나라는 농업을 생활기반으로 삼았던 백성들의 평안을 기원하며 사직대제를 봉행했다. 일제의 강압으로 순종2년(1908년) 폐지됐던 사직대제는 지난 1988년 원형대로 복원된 이래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사직대제보존회의 주관으로 해마다 봉행되고 있다.
2. 사직대제(社稷大祭)와 경복궁 서쪽 서촌마을 |
사직대제에 앞서 왕과 문무백관이 제례를 올리기 위해 행차하는 600명 규모의 어가행렬이 있었다. 전형적인 가을 날씨에 거행된 어가행렬은 보는 이들의 환호와 박수를 받을 만큼 장관이었다. 오전 11시 15분 덕수궁을 출발해 세종로, 광화문, 사직로를 거쳐 11시 50분 사직단에 도착하여 사신(社神)과 직신(稷神)에게 제를 올렸다.
경복궁 서쪽 서촌마을은 조선시대 중인들이 모여 살았던 곳으로 규모가 작은 한옥들이 아직도 남아 있으며 해마다 사직대제를 지내는 사직단, 세종대왕 나신 곳, 백사 이항복 가옥 터, 정선의 진경산수화의 배경이 된 수성동 계곡 등 역사성을 지닌 곳이 많다. 특히 이번 사직대제(중요 무형문화재 제111호)를 지낸 사직단(사적 제121호)은 해마다 전통 제례의식이 봉행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경복궁 서쪽 서촌마을이 다른 지역과 차별성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촌애(愛)'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화문광장 일대 국내 최초 빗물 배수터널 설치 (38) | 2011.10.19 |
---|---|
경복궁 서쪽 서촌마을은 변신을 위한 공사 중 (20) | 2011.09.27 |
경복궁 서쪽 서촌지역 ‘한옥 열풍’! 3.3㎡당 1,000만 원 올라 (28) | 2011.09.13 |
2012년 5월이면 인왕산 기슭 수성동 계곡의 옛 모습을 볼 수 있다. (38) | 2011.08.08 |
조상들은 경복궁 서쪽 인왕산 기슭을 웃대(上村)라고 불렀으며 중인(中人)들이 모여 살았다. (38) | 2011.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