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력은 특정인을 평가하는 잣대가 될 수 있을까?
요즘
언론에서 학력문제를 심심찮게 보도하고 있다. 불과 며칠 전 지방자치단체 9급 공무원의 학력을 분석한 결과 대졸자가 84%이고 고졸자는 3%에 불과하다는 보도가 있었고 최근 금융권에서는 고교 졸업자를 채용하였다는 보도도 있었다. 과연 우리 사회에서 학력이란 무었인가? 한사람을 평가하는 잣대가 될 수 있을까? 오늘 국가직 고위공무원단 1,485명의 학력에 대한 보도가 있었다. 한번 알아보자.
1. 국가직 고위공무원단 중 고졸 학력자는 1%인 18명에 불과 |
행정안전부는
정부부처 고위공무원단 1,485명(6월말 기준) 가운데 고졸 학력소지자는 18명으로 전체의 1% 남짓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고위공무원단 제도는 2006년 7월부터 시행된 국가 공무원 직위 분류제도로, 과거 기준으로 3급(부이사관) 이상의 중앙부처 국장급 공무원들이 고위공무원단에 해당한다.
2. 출신학교별로는 서울대 28.9%, 연세대 8.7%, 고려대 8.2% 순 |
행안부에 따르면 임용 당시 학력이 고졸이었던 고위공무원 가운데 15명을 제외한 나머지는 방송통신대나 야간대학 등을 다니며 학력을 높였다. 행안부 관계자는 “
임용 당시 고졸 출신은 현재 고위공무원단 가운데 6.9%(102명)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3월 기준 방송통신대를 거친 고위공무원은 5.8%인 88명으로, 서울대(28.9%), 연세대(8.7%), 고려대(8.2%) 다음으로 많아 공직사회에서 학력은 여전히 출세의 요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3. 서울 소재 대학 출신 72%로 쏠림 현상 뚜렷 |
한편 고위공무원단
출신 대학 현황에서도 서울 소재 대학 쏠림현상은 두드러졌다. 지난 3월 기준 서울 소재 대학을 졸업한 고위공무원은 전체의 72%였다. 하지만 고등학교 졸업장만으로 올 5월 고위공무원이 된 ○○부 감사관은 “물론 학벌도 중요할 수 있겠지만 자신이 맡은 부분에서 전문성을 높인다면 고졸 출신도 명문대나 행정고시 출신과도 충분히 경쟁할 수 있고 고위공무원도 될 수 있다.”고 말했다.지금은 공직에 진출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대졸이상이라 별 문제는 없다고 하겠지만 70~80년대 공직진출자의 대부분은 고졸출신이었고 그들 중 대부분은 학력을 높이기 위해 방송통신대학이나 야간대학을 다녀야 했다. 학력이 특정인을 평가하는 잣대로서의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 |
![]() |
'명태랑의 정보통 > 공무원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서울시 7, 9급 공채(1,094명) 및 중증장애인 특별임용시험(9명) 등 1,103명 선발 (37) | 2011.08.26 |
---|---|
공무원보수규정, 수당규정, 성과평가규정 등 개정 (32) | 2011.08.24 |
국가직 고위공무원중에서 고졸 학력의 고위공무원이 1%라는데.... (24) | 2011.08.23 |
지방별정직 보건진료원과 기능직공무원의 일반직 전환 등 (38) | 2011.08.18 |
지방공무원의 학력인플레 어떻게 봐야 할까? (70) | 2011.08.16 |
9급 공무원 국가직 공채 면접시험 이렇게 대응하자. (79) | 2011.08.11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이러니 기를쓰고 대학에 가려고하죠;;; 휴...
그러게 말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향학열도 높지만
제도적으로도 문제는 있죠...
즐거운 시간되세요
아무래도 고위 공무원에 고졸을 올려줄리가 없죠..
물론 노력을 하고 인정을 받는 다면 가능하겠지만..
예, 고졸이 고위공무원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라고
해야 할 겁니다.
즐거운 시간되세요
학력, 간판이 아니라 실력과 성실성으로 평가받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그런 세상이 오겠지요...
즐거운 시간되세요
누군가를 평가할때 아무래도 학력은 기본으로 보는 시각이 널리 퍼져있으니 그렇겟지요. 좋은 하루 되세요 명태랑님 ^^
맞는 말씀입니다. 우리사회에 학력이 차지하는 부분은
상당한 것 같습니다.
즐거운 시간되세요
확실히 서울대가 가장 많군요...
좋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명문대학 출신자들이 많은게 정상이겠지요
실력있는 사람들이 모이는 학교니까....
즐거운 시간되세요
잘보고 갑니다. 아무래도 학벌 위주인가요..ㅠ..ㅠ
행복한 저녁 보내세요^^
학벌이 중요한 사회인가봐요. 고졸이 공무원되면
거의가 학력을 높이려고 방송대라든가 야간대학에
다니죠...
즐거운 시간되세요
쏠림현상,,
이래서 대졸이 중요한가봅니다,,
그런가 봅니다.
그래서 모두 대학가려고 하고...
즐거운 시간되세요
학력문제가 아무런 이야기 꺼리가 되지 않는
날이 꼭 와야 합니다.
망국에 불치병인 것만은 틀림이 없어 보여요.
맞는 말씀입니다. 학력이 중시되는 사회는 퇴보만 있을 겁니다.
즐거운 시간되세요
우리나라는 대학시절4년이 평생을 좌우하는것 같습니다.
웃기는 짬뽕아닙니까?
학벌이 중요한 사회는 바뀌어야 합니다.
즐거운 시간되세요
이러니 죽어라 대학에 목을 메죠....ㅜㅜ
학벌위주가 아니라 능력위주의 사회가 되었으면 합니다..ㅜㅜ
잘보구 갑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는 실력위주의 사회가 되겠지요.
즐거운 시간되세요
학문을 위해서 아니라 학벌을 위해서 대학을 가니... ㅠㅠ
지금까지는 학벌을 위해서 대학갔는데...
앞으로도 그럴까요....개선되어야 합니다.
즐거운 시간되세요
사회가 이러니...주위에는 돈주고 대학가는사람도 있네요.. 일단 졸업장만 따고보자는식...
그런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청강생이라고도 있었는데....
즐거운 시간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