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년 공무원 보수 3.5% 인상
정부는
올해 공무원 보수를 5.1% 인상하였음에도 내년(2012년)에도 3.5% 인상할 것이라고 한다. 그동안 세계경제의 한파로 공무원들의 보수를 거듭 동결해 오다가 경기가 회복되자 정부가 내린 조치다. 공무원들의 보수인상률과 물가상승률과는 어떤 관계일까? 이와 같은 공무원들의 보수 인상에 대해 공무원들과 일반인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1. 공무원 보수 인상률과 물가 상승률과의 관계 |
공무원들은 한마디로
공무원들의 보수 인상이 거북이 걸음이라면 우리사회의 물가 상승률은 토끼 걸음이라고 한다. 한 걸음 다가가면 두세 걸음 달아나는 게 우리 사회의 보수와 물가 상승률과의 관계다. 민간보다는 공직사회에서 이 격차가 더욱 크다고 한다. 보수인상률이 물가 상승률을 따라 잡지 못하는 한 공무원들의 실질임금은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지난 5년간 공무원 보수 인상률을 살펴보면 2007~2008년에는 각각 2.5%씩 올랐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09~2010년은 연속 동결됐다. 나라 살림이 어려워지자 결국 공무원들이 희생양이 된 것이다. 이로써 공무원들의 사기는 떨어졌고 민간과의 임금격차는 더욱 크게 벌어졌다. 다행히 정부는 지난해 경기가 어느 정도 회복되면서 2011년도 공무원 보수를 2003년(6.5%) 이후 가장 큰 폭인 5.1% 인상했고 내년도에도 3.5% 인상한다.
공무원 보수 인상률과 통계청의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비교해 보면 2008년 이후 올해까지 공무원 보수가 5.1% 오르는 동안 물가는 2008년 4.7%, 2009년 2.8%, 2010년 2.9% 오르며 모두 10.4% 인상됐다. 결국, 올해 공무원 보수가 5.1% 올랐다고 해도 물가상승률에 따져 보면 실질임금은 줄어든 셈이다. 공무원 보수의 민간보수 접근율은 2004년 95.9%였지만 해마다 격차가 벌어져 지난해 84.4%까지 떨어졌다. 상용근로자가 100인 이상인 민간기업체의 사무 관리직 평균보수를 기준으로 한 접근율이 높을수록 공무원 보수가 민간기업 보수에 가까움을 의미한다.
2. 공무원 보수 인상률에 대한 생각들 |
올해는 지난 2년간 동결됐던 공무원 보수가 5.1% 인상됐지만
공무원 대부분은 박봉이라고 생각한다. 정부는 공무원과 민간의 보수 격차를 줄이기 위해 내년에도 3.5% 인상할 방침이지만 공무원들의 반응은 냉담한편이다. 보수인상률이 물가 상승률에 미치지 못하는데다 민간기업과의 보수격차 역시 더욱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공무원들에게 2011년은 2년간 묶였던 숨통이 트인 해였으나 생활은 여전히 팍팍해진 한 해였다고 한다.정부부처의 한 공무원은 올해 올린 5.1%는 지난 2년간 동결됐던 것을 감안하면 턱없이 낮은 수준이라면서 신분이 국가 공무원이라 고물가에 국민들도 힘겨워하는 마당에 큰 폭의 인상을 요구할 수도 없었다고 한다. 더 큰 문제는 내년도 보수 인상 폭이다. 기획재정부는 민간 보수와 공무원 보수 간 인상률 차이와 내년 물가 상승률 전망치 3.0% 등을 반영해 공무원 보수를 3.5% 인상하기로 했다.
이 같은 인상안에 대해 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 등
공무원 노조와 공무원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미 보수수준이 물가에 비해 현저히 낮은데다 올해 소비자 물가 상승률 전망치만도 4.0%이기 때문이다. 공노총 등은 보수인상 폭 외에도 보수 책정 과정도 문제 삼고 있다. 민간에서는 노사 교섭을 통해 보수 인상률을 정하지만 공무원 보수는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직장인 임모씨는 국민 대부분의 생활이 어려운 지금, 그나마 정년 보장에다 각종 혜택을 많이 받는 공무원 형편이 훨씬 더 좋아 보인다고 말했다.
'명태랑의 정보통 > 공무원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인재 공직채용 문호 확대 (34) | 2011.12.14 |
---|---|
시험약자에 대한 편의제공확대와 소방환경개선을 위해 2016년까지 6,700억원 투입 (40) | 2011.12.14 |
공무원 보수 인상률은 물가 상승률에 미치지 못한다. (72) | 2011.12.09 |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출신이 5급 공무원 공채 합격자의 70% 점유 (52) | 2011.12.08 |
사이버국가고시센터(http://www.gosi.kr)에 2011년 5급 기술직 공채 합격자 72명 명단 게시 (27) | 2011.12.06 |
2011년 5급 행정직 공채, 여성합격자 101명 등 260명 최종 합격 (79) | 2011.11.23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다들 힘든 때 인것 같아요..
인상율이 낮기도 하지만....
고놈이 물가 때문에 다들 힘들어 하니...;;
물가 오름세를 잡아야 합니다.
서민들 생활하기 어렵죠...
즐거운 시간되세요
이래저래 참 힘드네요...ㅜㅜ
잘 보구 갑니다..ㅜㅜ
감사합니다.
즐거운 시간되세요
적정한 급여 인상은 사기진작을 위해서도 현실적 체감을 고려해서라도 당연하다 봅니다.
그래도 언제나 만족하지 못하는게 급여 인상이지요.
좋은 말씀입니다. 올려주면 더 올려 달라고 하는게 사람들의 심리인 것 같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공무원 정말 부러운 직업인것 같아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거운 한주 되세요
다녀갑니다^^ 주말 마무리 잘 하세요
감사합니다.
즐겁고 행복한 한주 되세요
물가가 그동안 무척 많이 올랐나 봅니다.
보수가 올랐는데도 체감상 저렇다니.
물가를 잡아야 하는데 쉽지 않은 가 봐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공무원 연봉이 오르긴 했지만 .. 그 분들에겐 아쉬운 것 같네요.
오늘 D모 회사를 다니는 분이 정보를 주기로 ...
자기들 회사는 내년 연봉 인상이 18% 나 된다고 하더라구요.
비밀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폭로 하고 가버리네요 ..ㅎㅎ;;..
제 월급이나 올랐으면 좋겠습니다 .ㅠ_ㅠ..
으와 18%면 대단합니다. 물가상승률을 훨씬 뛰어 넘는군요
즐겁고 행복한 시간되세요
공무원시험 준비할까 했었는데 잠시 망설이게되는거같아요 ㅎㅎ
좋은정보 잘보고갑니다^^
생각이 있다면 도전해 보세요.
공무원 요즘 인기던데요
즐거운 시간되세요
급여라는 것이....특히 공무원사회에서의 급여가 물가상승률을 이기는것은 사실 어렵겠지요
사람들이 바라보는......시선도 그렇고.....
내년에는 정말....물가라도 어떻게.....
그런 것 같습니다. 국민들 눈치를 볼 수 밖에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공무원들은 함부로 올리지 못하지만 안정적인 부분은 있네요.
다들 월급이 좀 많이 올랐으면..ㅎㅎ
그런면이 있지요. 정년이 보장 되어 있으니까...
즐거운 하루되세요
밤이 늦었네요 행복한 꿈꾸세용
감사합니다.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그래도 공무원은 오르네요... 요즘 임금동결 회사가 많은데 에혀~
그렇게 어렵군요. 일반 기업에서도 임금동결이 있었군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공무원 임금 인상률 발표되었나 보내요..
문득 술자리에서 공무원 월급관련 대화장면이 생각나내요.
공무원 : 공무원 월급.. 넘 작다... 몇% 인상되었다고 말하지만 우리같은 하위직 공무원에게는 정말 느껴지지 않는 수준이다. 차포떼고 실수령액은 정말 얼마않된다..^^
회사원 : 대기업수준은 아니지만 중소기업수준은 되잖아..꼬박꼬박 월급나오고..비리없이 그냥 길고 가늘게 살면 되지뭐...^^
재미있는 말씀입니다. 두 사람의 대화가 현실일 겁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니 월급빼고 다 오른다라는 말만 떠 어릅니다. ㅠ,.ㅠ
참 살기 어려운 세상이죠. 그래도 살아가야 겠지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공무원 보수는 안정성이 가장 큰 매리트죠
금액을 놓고보자면 아쉬운 부분이 많지 싶어요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우리 동생들도 공무원이지만
그래도 안정적이라 참 좋아 보였어요.
그러시군요. 공무원은 정년이 보장되니 좋지요. 그런데 퇴직하고 나면 세상물정을 몰라 할일이 없다고들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세상 모든 물가는 오르는데 제주머니만 안오르는듯 한...ㅠㅠ ㅋㅋ
다녀갑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그러게요. 주머니가 두둑해야 하는데...
즐거운 하루 되세요
공무원 급여가 또 오르는군요..
비정규직도 올라야 할텐데요..
수많은 비정규직에게도 희망이..
그리고 첫방문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메리크리스마스요~^^
공무원 직업이 박봉으로 유명하긴하지만 몇년째 봉급이 깎이는건지 모르겠네요(물가인상율 감안하면 감봉된거죠)
공무원은 서민 눈치보느라 큰소리를 내지 못하니 정부는 공무원이 갈수록 얼마나 쪼들리는지 모르는 것 같습니다.
일반 제조업체 2011년 임금인상율이 5.5%였습니다. 이 5.5%는 임금인상률+호봉승급분 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공무원의 임금 인상률은 통상 발표 되는게 호봉승급분(약 5% 수준) 을 제외한 임금테이블 인상률을 얘기 하는것이지요. 즉, 엄밀히 따져서 임금인상률은 2012년 3.5% 인상이라면 대략 8.5% 이상의 임금인상이 일어 나게 되는것이지요. 산업 전반적으로 봤을때 대기업을 제외 하곤 공무원이 가장 후한 인상을 거듭 하고 있다는걸 말씀 드리고 싶군요. 이의가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제 블로그로 찾아 오세요 공무원 여러분. blog.naver.com/ohyesg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