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에 해당되는 글 2건
- 2014.01.28 말 한마디 (48)
- 2011.02.19 우리들이 감당할 수 있는 빚은 얼마나 될까 (4)
- 총소득에서 대출이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40%를 넘으면 위험하다. -
1. 가계의 소득보다 빚이 늘어나는 속도가 훨씬 빠르다. |
문제는 가계의 소득보다 빚이 늘어나는 속도가 훨씬 더 빠른데 있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개인의 가처분소득은 연평균 5.7% 증가한 반면 가계부채는 연평균 11.6%가 늘었다. 이에 따라 빚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가처분소득에 대한 부채비율은 2001년 104%에서 2009년에는 152.7%까지 치솟았다. 그만큼 빚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미국이 128%, 일본이 112%, 독일이 98%에 불과한 것을 보면 우리나라의 빚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
2. 소득이 1,000원이라면 갚아야 할 빚이 800원이다. |
이렇게 부채가 늘어나면서 금융회사에 대한 개인 부채는 1인당 국민총소득(GNI)의 80% 선을 넘었다. 국민 한 사람의 소득이 1,000원이라면 갚아야 할 빚이 800원이라는 예기다. 이 비율이 80%를 넘은 것은 개인 부채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75년 이후 처음이다. 개인이 선택해야 할 알맞은 부채의 유형을 찾아낼 수 있을까. 쉬운 말로 내 몸이 감당할 수 있는 빚의 수준은 얼마나 될까.
3. 총소득에서 대출이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40%를 넘으면 위험하다. |
일반론적 관점에서 하나의 가계가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해 나가는 데 필요한 적정한 빚의 수준을 예기할 수 있다. 우선 원용할 수 있는 것이 이른바 총소득에서 대출이자가 차지하는 비중이다. 통상 이 수치가 40%를 넘을 때는 부채 상환능력이 의심되는 고위험 가구로 평가 되지만 이는 말 그대로 가계가 심각하게 문제될 수 있는 최악의 수치를 의미할 뿐 적정 부채와는 거리가 있다고 하겠다.
'명태랑의 공부하기 > 경제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인상의 영향과 대처 방안 (2) | 2011.03.15 |
---|---|
대출을 제대로 받는 방법은 없을까? (4) | 2011.02.22 |
우리들이 감당할 수 있는 빚은 얼마나 될까 (4) | 2011.02.19 |
민원수수료 결재! 카드 포인트로도 가능해 진다. (2) | 2011.02.17 |
신용카드 혜택을 제대로 누려 신용불량자가 될 수 있는 위험에서 벗어나자. (2) | 2011.02.06 |
신용카드는 금융과 소비가 결합하여 탄생한 악마이다. (0) | 2011.02.04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독감이 돈다고 하네요 감기 조심하시공
오늘도 즐겁게 화이팅해용 ~~^^!!
감사합니다~~^^
어제 올라왔던 사진과 같은 곳에서 찍으신것 같군요.
잘 보고 갑니다~
네, 종로타워 22층입니다~~ㅎㅎ
말 한마디가 정말 중요하긴 하죠..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말하기 전 여러번 생각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인듯 합니다^^
그런것 같네요~~^^
전 글보다 사진이 우선 눈에 들어오네요
청계천이 내려다 보이는 사무실인가 봅니다. ^^
종각에 있는 종로타워 안과에서 찍은 사진입니다~~ㅎㅎ
잘 보고 갑니다~
즐거운 하루 되시구요~
추천도 꾸욱 하고 갑니다 ㅋ
감사합니다~~^^
말 한마디 참 중요하지요.
저녁시간도 행복하세요.^^
감사합니다~~^^
좋은 글 마음에 새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옳소 맞는 말씀이셔요~!! 잘 새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늘 행복하세요^^
감사합니다~~^^
알면서도 실천을 못하는건 머리가 나빠서일까요?ㅠ
실천이 힘든건 현실인것 같네요~~ㅎㅎ
말은 정말 조심해서 해야 하죠...^^
하루 마무리 잘하시고, 좋은 꿈 꾸세요^^
감사합니다~~^^
좋은 말씀 잘 보고 느끼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좋은 하루 시작하세요~^^
감사합니다~~^^
좋은 문구네요.^^
감사합니다~~^^
와우..잠시 생각하게 하는 문구이네요..
사진은 꼭 시간이멈춘듯한 광화문사거리가 생각나네요 ㅋ
정말 사진속에서 시간은 멈춰버렸네요~~ㅎㅎ
말이 참 중요하죠~
단어선택, 말할때의 뉘앙스에 따라 듣는이의 해석이 참 달라지는 것 같아요~~
자기자신의 문제...
늘 삶에 충실하고 조심해야겠습니다~
말 한마디 한마디~ 아주 조심히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잘 보고 갑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경쟁율이 30대가 넘어가는군요 공무원이 인기가 높긴 한가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