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가구주가 서울에 평균 수준의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하려면 가처분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2년 이상 모아야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가구주가 서울 아파트 한 채를 마련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점점 길어지는 추세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3분기 39세 이하 가구주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71만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감정원이 파악한 9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5억5480만원이 수준이라 단순 계산하면 20∼30대 가구주는 약 12년 6개월을 모아야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를 마련할 수 있다.
연간 기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과 매년 12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을 비교해보면 2013년 약 11년 6개월 걸리던 기간이 2014년에는 약 11년 7개월, 지난해에는 약 12년 11개월까지 연장됐다. 처분가능소득은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 중 세금, 공적연금, 사회보험 등을 제외한 것으로, 소비지출분은 배제됐다. 소비지출을 하고 가구가 자산 매입과 저축에 활용할 수 있는 흑자액은 올해 3분기 기준 월평균 120만원 정도다. 이를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20~30대 가구주가 은행에 의존하지 않고 집을 마련할 때 걸리는 기간은 약 38년 6개월로 늘어난다. 현실이 이렇다 보니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선 젊은 가구주들은 빚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영주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현황을 보면 올해 3월 말 30대의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01조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0조4000억원(11.5%) 늘었다. 20대가 받은 주택담보대출 잔액도 작년 말 6조5000억원에서 3개월 만에 9조4000억원으로 2조9000억원(44.6%) 늘었다. 반면 40대가 받은 주택담보대출은 2조2000억원(1.3%) 늘어나는 데 그쳤고 50대와 60대 이상에선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각각 4조4000억원, 8조1000억원 줄었다.(2016년 11월 28일 매일경제 기사 참조)
'명태랑의 공부하기 > 부동산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强규제속 4250만원짜리 분양 성공할까 (8) | 2016.12.05 |
---|---|
야당 “임대소득 과세유예 없다” 은퇴사업자 건보료 폭탄 우려 (16) | 2016.11.29 |
서울 아파트? 20·30대 한푼도 쓰지 않고 12년 넘게 모아야… (10) | 2016.11.28 |
가계부채 후속대책 / 내년부터 잔금대출 분할상환 의무화 (6) | 2016.11.25 |
내달부터 소득 입증하지 못하면 아파트 잔금대출 못받는다. (6) | 2016.11.23 |
주택시장 흔드는 30대 파워…작년 서울 떠난 인구중 35%로 가장 많아 (6) | 2016.11.18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정말 한푼도 쓰지않고 모으기 참 어렵죠.. 요즘 집값이 너무 올랐어요 ㅠㅠ
정말 그렇네요~~~
점점 내집 마련의 기회가 멀어지는것 같아
안타깝기도 하네요..
오늘도 덕분에 좋은 자료 잘보고 갑니다..
젊은이들이 결혼을 힘들어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서울에 살지 않고 경기도로 가면 좀 낫기는 하죠
아무래도 그렇겠죠~^^
저도 이 뉴스봤습니다 ㅎㅎ.
역시 세상은 비참하네요
점점 더 어려워 지는것 같네요~~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선 빚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 슬픕니다. ㅠㅠ
좋은 하루 보내세요!
부동산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빚을 지지않을 수가 없는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