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필자, 공무원 채용 할당제’ 무엇이 문제인가?
정부가 공무원을 채용할 때 선발 인원의 일정비율을 병역의무 이행자에게 할당하는 ‘공무원 채용 목표제’를 추진하기로 하자 여성단체는 ‘군 미필자에 대한 차별’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군필자에 대한 ‘공무원 채용 할당제’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보자.
1. ‘공무원 채용목표제’와 ‘양성평등 채용목표제’ |
국가보훈처는 지난 4일 이명박 대통령에게 올해 업무계획을 보고하면서 도입이 보류된 군가산점제를 대체하는 방안으로 ‘공무원 채용목표제’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공무원 채용목표제는 공무원을 선발할 때 일정 비율의 의무 단기복무 제대군인(군필자)을 할당해 뽑자는 것이다. 군가산점제의 부정적 인상을 없애기 위해 제목만 바꿨지만 내용은 동일하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현재 공무원 채용 때 여성을 일정 비율 선발하는 것과 같은 개념”이라면서 “도입 시기 및 할당 목표 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 행정안전부와 협의해 나갈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양성평등 채용목표제’는 어느 한쪽 성의 합격자 비율이 30% 미만일 때 합격선 범위 내에서 해당 성의 응시자를 추가로 합격시키도록 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도 “각종 여론조사에서 제도도입에 찬성하는 의견이 월등히 많았다”며 “병역으로 인한 학업 중단과 사회진출 지연, 경제활동 중지 등 상대적 박탈감에 대한 국가 차원의 배려로 군가산점제 재도입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말했다. 한국갤럽이 2010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83.0%가 군가산점제 도입에 찬성했다.
2. ‘군가산점제’도입 경과 및 도입 반대의견 등 |
군가산점제 부활 시도는 군필자에게는 실익이 많지 않고 성대결 등 소모적 논란만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많다. 군가산점제가 1999년 여성과 장애인의 평등권과 공무담임권,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폐지됐기에 이를 부활시킬 법적 근거가 약하다.
국회에서도 군가산점제 재도입을 위한 입법 시도가 몇 차례 있었으나 위헌 논란 끝에 불발에 그쳤다. 그동안 정부는 본인 득점의 2.5% 범위에서 가산점을 주고, 가산점 합격자가 전체 합격자의 20%를 넘지 않도록 하며, 가산점 부여 횟수를 3∼6회로 제한하는 선에서 군가산점제 재도입을 추진했다. 관련 법안은 현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잠자고 있는 상태다.
여성가족부와 여성단체에서는 “소수가 혜택을 보는 군가산점제보다 모든 군인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모 동국대 교수는 “군복무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추진되는 채용목표제의 목적 자체에 위헌 요소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다만 할당 비율이나 방식을 정교하게 마련해 여성, 장애인과 형평성을 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명태랑의 정보통 > 공무원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찰간부후보생, 1월 19일 18 : 00까지 경찰청 원서접수사이트(http://gosi.police.go.kr) 원서접수 (48) | 2012.01.13 |
---|---|
고졸출신, 2012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으로 상당수 진출 예상 (46) | 2012.01.12 |
군필자 공무원 채용 할당제, 여성단체는 ‘차별’이라며 강력 반발 (59) | 2012.01.09 |
2013년 9급 공무원 시험, 행정학 행정법을 선택과목으로 변경하고 사회 과학 수학을 선택과목으로 추가 (50) | 2012.01.06 |
2012년 공무원 봉급, 병역을 필한 9급 3호봉은 기본급과 각종 수당을 포함하면 월 191만원 정도 (38) | 2012.01.05 |
2012년 일반직 별정직 봉급 월 최소 4만원, 최대 21만원 인상 (37) | 2012.01.04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비밀댓글입니다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애드젯 제거해야 겠군요
잘 알겠습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비밀댓글입니다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충분히 반대할만할 소지가 있는거같긴합니다
그런거필요없이 실력으로 정정당당히 자격이 주어지면 좋을거같네요
잘보고갑니다^^*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아들이 3월이면 제대인데 정말 걱정이로군요....
어떤 식으로든 국방의 의무를 진 것에 대한 시간적인 보상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행복한 하루 되세요..*^*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나라를 지키기 위해 젊음을 헌신한 군필자 에게는
그 역종을 불문하고 충분히 보상을 해주어야 됩니다.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겁고 행복한 시간되세요
네 군필자에게는 혜택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겁고 행복한 시간되세요
네 저도 에매하네요..잘 보고 갑니다~~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거운 시간되세요
뭐가 정답인지 잘 모르겟네요..정말..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거운 시간되세요
저딴 가산점보다는 2년넘게 고생한 청년들에게 보상을 제대로 해주는게 낫다고 봅니다.
잘 봤습니다~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좋은 시간되세요
다녀갑니다 늦은 밤 차한잔과 함께 행복한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판단이 서지는 않지만 청춘을 바친 젊은 날에 대한 보상은 있어야 할듯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오늘 하루도 행복하게 보내세요^^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ㅎㅎ 항상 논란이 되는 이야기...
뭐....이나라가 모병제로 바뀌는것이 가장 좋지만....ㅎㅎ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군필자 채용할당제는 좀 그렇네요.. 양성평등제라면 몰라도... ^^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비밀댓글입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참 어려운 문제이지요.ㅎㅎㅎ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또 이문제가 이슈화 되었군요..사실 남녀간의 심각한 의견의 대립이 있는문제죠. 역지사지로 본다면 서로의 입장은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만, 어느한쪽이 먼저 이해를 해야하는 문제같네요..쉽지 않습니다.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쫌 올려주는게 좋다고 봐요.ㅎ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어떻게 보면 여성들이 반대하는건 '당연' 하지만 군가산이나 군필 우대정책도 국방의 의무를 다한 청년들을 위해
'당연'히 필요한 제도인것 같아요
방문과 덧글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당연한건데.. 정말
진작했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