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태랑의 공부하기/경제 공부하기...

저금리 시대 개미 투자자의 대응 방안

 

 

  농협은행의 대표 정기예금 상품인 채움정기예금의 1년 만기 금리는 11일 기준으로 연 1.99%다. 한국시티은행은 연 1.8%인 정기예금 금리를 12일 1.6%로 나춘다고 한다. 은행 정기예금 금리 1% 시대가 현실로 다가 온 것이다. 내년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 물가 상승률 전망치가 2.4%임을 감안할 때 예금이자에 세금을 빼고실질금리는 마이너스인 셈이다. 예금에 돈을 넣어두면 가치를 까먹는 시대가 됐다. 더욱이 일본에 이어 유럽연합(EU)까지 양적완화에 나설 태세여서 저금리 기조는 상당기간 이어질 공산이 크다.

 

  은퇴한 직장인이 퇴직금 3억원을 금리 1.9% 정기예금에 넣어두면 세금 빼고 손에 쥐는 이자가 한달 40만원도 안된다. 은행에 적금으로 종자돈을 마련한 뒤 전세를 거쳐 내집을 마련한다는 고금리 시대 재테크 공식이 무너진 것이다. 금융투자협회의 지난해 말 기준으로 한국 가계의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 비중은 75.1%로 미국 29.3%, 일본 39.9%을 크게 앞지르고 있고 금융자산 중 현금 예금 비중은 45.5%로 미국 12.7%, 영국 27.8%, 호주 22.0%에 비해 훨씬 높다.

  마이너스 실질금리는 국내 주택시장에도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고금리 시대엔 전세가 대세였다. 집주인의 입장에선 세입자로부터 무이자 대출을 받는 것이나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로 떨어지자 전세의 월세 전환이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다.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 비중은 2011년 32.9%에서 올해 41.6%로 상승했다. 월세가 전세를 앞지르는 건 시간문제다.(이상 중앙일보 2014년 11월 12일 1면 기사 참조)

 

  이상 보도 내용을 종합해보면 저금리 시대가 당분간 지속된다는 가정과 고금리 시대의 재테크 수단인 전세 등이 신재테크 수단인 월세 등으로 급속히 바뀌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전세에 맞춰져 있는 주택정책 등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이 이미 양적완화를 중단한 상태이고 내년 상반기 쯤에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예상이 있기는 하지만 일본이 대규모로 양정완화를 추진하고 있고 유럽연합이 이에 가세할 태세여서 저금리 시대의 종식은 어려울 것이라는 보도 내용에 동의를 하지만 미국과 일본, 유럽연합이 벌이고 있는 전의 전쟁의 결과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단하기는 어려우므로 개미 투자자들은 현금 주식 부동산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견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다.